청년도약계좌란?(feat. 청년도약계좌 금리, 신청조건 및 방법, 지원내용, 예시)
청년도약계좌란?
- 만 19세(2005년생) ~ 만 34세(1990년생) 이하 분들에게 월급, 수당, 연금 등을 합친 연 개인소득 기준에 따라, 총 5년(60개월) 동안 매월 7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, 매월 최대 6%의 정부기여금(지원금)을 지급하고, 이자에 대한 세금부과를 하지 않는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
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
1) 납입금액과 비례하게 정부 지원금 지원 [* 일반적인 경우 고정이자(지원금) 4.6 ~ 6%가 사회 초중년생이지 않을까 싶다.]
단!, 개인소득 6,000만원 초과거나, 소득이 없는 경우 정부 기여금(지원금)이 없음
2) 가입 후 3년 고정 금리(기본금리 '3.8~4.5%') + 2년 가입은행별 변동 금리로 지원금 지급(* 2년 동안에는 은행 예금 금리와 비슷한 금리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'2~3%')
3) 5년 만기 도래 시 지원금 및 이자에 대한 세금 부과를 하지 않음
4) 저소득청년 대상일 경우 추가 우대금리 적용
5) (새로 생긴 부분) 적금 기간 3년만 채워도 지원금 및 이자에 대한 세금을 부과하지 않고, 이자율도 유지!
지원 정리 예시) 연 2,800만원 개인소득자, 월 30만원 납입, 추가 우대금리 미적용 → 저축금액 : 1,800만원 + 3년 고정금리(임의 5.5%) : 59만4천원 + 2년 변동금리(임의 2.1%) : 15만1천2백원 + 정부기여금(지원금, 4.6%) : 82만8천원 = 1957만3천2백원 🌟 5년 동안 이자소득 '157만3천2백원' + 저축 '1800만원'
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
1) 청년도약계좌 만든 당시 기준 만 19세(2005년생) ~ 만 34세(1990년생) 이하
*군대기간(최대 6년)은 만 나이 계산 시 빼고 계산
2) 작년 1월 ~ 12월까지의 기간의 월급, 수당, 연금 등을 합친 연 개인소득 기준 7,500만원 이하이며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(단, 육아휴직급여, 육아휴직수당 외에 세금을 내지 않는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)

🌟여기서 '종합소득과세표준 금액'이 궁금한 경우 '국세청 - 홈택스'에서 손쉽게 '종합소득과세표준 확정신고서'를 발급받아 확인이 가능!!
※ 참조(종합소득과세표준 확정신고서 발급법) : https://news12s.com/종합소득세과세표준확정신고서-인터넷-발급/
종합소득세과세표준확정신고서 인터넷 발급 출력 5분 완성(홈택스 이용)
종합소득세과세표준확정신고서 인터넷 발급 출력 방법입니다.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확정신고서 및 납부계산서도 동일한 서류입니다.
news12s.com
3) 주민등록표에 같이 등재된 가족원(직계혈족)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에 해당하는 자

🌟여기서 '중위소득 250%'에 해당하는 지 일반적으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, 다른 알 수 있는 방법 2가지 알려드립니다.
① '복지로' 사이트를 '모의계산'을 이용해서 대략적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.
참고 : '중위소득', '소득인정액' 확인하는 방법(https://oneday1work.tistory.com/entry/중위소득-소득인정액-확인-방법feat-모의계산)
② 관할 시/구청 '기초연금 혹은 수급자 담당자'에게 전화 혹은 면담을 통해 대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통화 상 예시) "안녕하세요, 중위소득 250%면 재산이 어느 정도인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?"
다만, 정확한 결과는 아니라는 점은 꼭! 알고 계셔야 합니다.
4) 신청일 기준 과거 3년 동안 금융자산(이자 및 배당 소득)이 2천만원이 넘는 경우 대상자 제외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- 총 11개 은행(농협, 신한, 국민, 우리, 하나, 기업, 대구, 부산, 광주, 경남, 전북)에서 신청이 가능하며,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오직 은행 앱(어플)에서 신청 및 가입 가능
- 매달 '초'일에 가능하며, 정확한 일정은 신청하고자 하는 은행별 사이트 혹은 콜센터에서 확인 가능
· 국민은행 1588-9999
· 신한은행 1577-8000
· 하나은행 1588-1111
· 우리은행 1588-5000
· 농협은행 1661-3000
· 기업은행 1588-2588
· SC제일은행 1588-1599
· 부산은행 1588-6200
· 대구은행 1566-5050
· 광주은행 1588-3388
· 전북은행 1588-4477
· 경남은행 1600-8585
'정부 정책 > 청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대출 가능한 청년 조건, 얼마까지 가능할까? (2025년 최신 정보) (0) | 2025.04.07 |
---|---|
청년 전세대출 한눈에 보기: 2025년 기준 총정리 (0) | 2025.04.07 |
청년 월세지원 자격 조건, 나도 해당될까? (0) | 2025.04.06 |
2025년 청년 월세 지원: 신청 방법과 자격 조건 총정리 🏠 (0) | 2025.04.06 |
복지로 청년월세지원 (feat. 신청조건, 지원내용, 신청방법) (1) | 2024.04.20 |
댓글